요즘 오메가3 많이들 드시는데요
최근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서 발표되었던 내용을 기반으로
몇가지 자료들 중 세가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
오메가3를 먹을때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
그리고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말씀드려볼려고 합니다,.
1.
일본나온 자료인데요.
약 1만 8천명을 두 그룹으로 나눴습니다
약 9천명씩 하나의 그룹으로 나눴겠죠?
그래서 콜레스테롤이 높은 분들만 뽑았습니다.
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70이 넘으시는 분들을 뽑아서
'스타틴'이라는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약을
스타틴만 먹인 그룹과
스타틴 + 오메가3로 오메가 3를 함께 복용한 그룹을 나눴습니다.
실험결과로 심혈관 질환 위험률이
스타틴+오메가3를 복용한 그룹이 19%감소했습니다.
하루 약 1.8g정도의 오메가3를 복용했습니다.
2.
1만 2천명 대상 실험
1만 2천명의 대상을 6천명씩 두 그룹으로 나눠
한 그룹은 스타틴만 먹이고
다른 한 그룹은 스타틴 + 오메가3로 하루 약 1g의 복용량을
6.2년동안 추적 관찰 했습니다.
결과는 여기서는 별반 다를 차이점이 없었습니다.
여기서는 오메가3가 별반 도움이 되지않았다라는 결과가 나온거죠
여기서 발견된것이 용량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.
3.
8천명 대상 실험 한 그룹당 4천명씩 나눴습니다.
6.2년동안 추적 관찰 했구요,
1년이 지나자
스타틴만 먹인 그룹에서는 중성지방 수치가 증가했고
스타틴 + 오메가3를 복용한 그룹은 중성지방 수치가 감소했습니다.
6년이 지나자
스타틴 + 오메가3를 복용한 그룹중
심혈관계 문제로 사망한 위험들이 20% 감소하고
심장마비로 인한 위험 31% 감소
뇌줄증으로 인한 위험 28% 감소했습니다.
여기서 오메가3를 복용했던 그룹의
하루 평균 오메가3 복용량은 4g이었습니다.
그래서 어느 정도의 오메가3가 정도할까?
이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. 필요한 오메가-3의 양은 신체의 크기, 나이, 건강 상태, 오메가 -3의 유형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
오메가-3 지방의 정해진 권장 표준 복용량은 없지만, 일부 보건기관에서는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250~500mg의 EPA와 DHA를 복용하도록 권장합니다.
이 권장량은ALA (알파-리놀렌산, 아마씨, 치아 시드, 대마에서 발견되는 식물성 오메가 3)가 아닌 EPA와 DHA에 적용되는 것임을 명심하셔야됩니다.
우리의 신체가 ALA를 EPA와 DHA로 변환시킬 수 있지만, 그 비율은 매우 낮으며, 충분한 효소가 있을 때에만(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부족함) 가능합니다. 이는 곧 최적의 오메가 3 수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ALA를 섭취해야 됨을 의미합니다(치료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).
임신 중이거나 모유 수유 중이라면 추가로 오메가-3 지방이 필요합니다. 미국 영양학 협회 및 캐나다 영양사 협회는 임산부와 모유 수유 여성의 경우(모든 성인 포함) 매일 적어도 500mg의 오메가 3 (EPA 및 DHA 포함)를 섭취하도록 권장합니다.
혈관을 건강하게 할려면
오메가3가 도움이 된다
그러나 용량이 적어서는 도움이 안되고 많이 먹어야한다.
그리고 EPA,DHA중 EPA에 해당하는 오메가3를 먹어야한다.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갈치의 효능 (0) | 2020.04.13 |
---|---|
오메가3 선택기준 6가지 꿀TIP (0) | 2020.03.29 |
팥의 효능 - 팥의 여러가지 효능과 영양성분 (0) | 2020.03.26 |
들깨의 효능에 대해서 (0) | 2020.03.23 |
노니의 효능은 어떻게 될까? (0) | 2020.03.22 |
댓글